해부학/근육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SPOLAB
2025. 5. 20. 09:10
반응형
🦶 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 엄지발가락을 위로! 걷기와 달리기의 핵심 근육
📌 기본 정보
항목내용
근육명 | 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
위치 | 정강이뼈와 종아리뼈 사이, 종아리 앞쪽 깊은 층 |
신경 지배 | 깊은비골신경 (Deep fibular nerve, L5) |
주요 작용 | 엄지발가락 펴기, 발목 들어올리기 |
🧬 기시 (Origin)
- 비골 중앙 앞면 (Middle anterior surface of fibula)
- 간막 (Interosseous membrane)
🧬 정지 (Insertion)
- 엄지발가락(제1지)의 말절골 (Distal phalanx of the great toe)
⚙️ 기능 (Function)
주요 기능설명
엄지발가락 지신 (Extension of the great toe) | 엄지를 위로 펴는 기능 |
족배굴곡 (Dorsiflexion of ankle) | 발등을 위로 들어올리는 기능 |
경미한 내반 작용 (Weak inversion) | 발을 안쪽으로 약간 돌리는 데 기여 |
👉 걷기, 달리기, 점프할 때 엄지발가락을 들어 지면에서 떼는 데 필수적인 근육입니다.
⚠️ 문제점 및 손상 시 증상
문제점설명 및 증상
근육 약화 | 엄지발가락을 들기 어려워짐, 발끝에 걸리는 느낌 발생 가능 |
건염 (Tendinitis) | 과사용으로 인해 건에 염증 발생, 발등 앞쪽 통증 |
신경 압박 (Deep fibular nerve entrapment) | 엄지 조절 및 발등 감각 이상 |
족하수 (Foot drop) | 장무지신근 포함 근육이 마비되면 발을 끌게 되는 현상 |
🏋️♀️ 강화 운동
운동명방법
Toe Lifts (엄지 들어올리기) | 앉은 자세에서 엄지만 독립적으로 들어올림 |
밴드 지신 저항 운동 | 엄지발가락에 밴드를 감고, 위로 당기며 저항 |
발등 들기 운동 (Dorsiflexion Raise) | 발 전체를 들어 발등을 위로 올리기 |
🧘♀️ 스트레칭 및 이완
스트레칭명설명
엄지 굴곡 스트레칭 |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엄지를 아래로 눌러 신장 |
발등 롤링 | 폼롤러나 마사지 볼로 종아리 앞쪽 깊은 근육 부위를 마사지 |
✅ 요약 정리
항목내용
기시 | 비골 앞면 중앙부, 간막 |
정지 | 제1지 말절골 (엄지 말단 뼈) |
기능 | 엄지발가락 지신, 발등 들어올리기 |
문제점 | 건염, 신경 압박, 족하수, 기능 저하 |
운동 | Toe lifts, 밴드 저항운동, 발등 들어올리기 |
💬 마무리
“장무지신근은 작지만 매우 중요한 근육입니다. 달릴 때 마지막 순간의 추진력과 발끝 컨트롤이 이 근육에서 나옵니다. 무시하면 쉽게 염증이 생기기 쉬우니,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으로 관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