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근육
외측익돌근(Lateral Pterygoid)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SPOLAB
2025. 5. 28. 09:12
반응형
🦷 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턱을 여는 유일한 저작근, 턱관절 건강의 핵심”
📌 기본 정보
항목내용
이름 | 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
분류 | 저작근 (Masticatory Muscle) |
신경 지배 | 하악신경 (Mandibular Nerve, CN V3) |
위치 | 얼굴 측면, 관자놀이 아래 깊은 곳 |
🧬 기시 (Origin)
외측익돌근은 두 개의 두 갈래(head)로 구성됩니다.
- 상두(head)
- 측두골의 인프라템포랄 능(큰날개): Greater wing of sphenoid
- 하두(head)
- 측두골의 외측익돌판 (Lateral surface of the lateral pterygoid plate)
🧬 정지 (Insertion)
- 하악골 경부 (Neck of mandibular condyle)
- 관절원판 (Articular disc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 즉, 턱 관절의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독특한 저작근입니다!
⚙️ 기능 (Function)
기능설명
턱 열기 (개구, depression) | 유일하게 턱을 내리는(여는) 저작근 |
턱 전진 (Protrusion) | 턱을 앞으로 당김 |
측방운동 (Lateral excursion) | 한쪽만 수축 시 턱을 반대쪽으로 이동시킴 |
📌 주의: 외측익돌근은 다른 저작근과 달리 턱을 닫는 게 아니라 여는 근육입니다!
⚠️ 문제점 (Issues)
문제설명
과긴장 및 단축 | 이갈이, 악물기, 스트레스 등으로 경직되기 쉬움 |
턱관절 장애 (TMJ dysfunction) | 관절원판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위치 이상 시 딸깍 소리(클릭음), 통증 유발 |
두통 및 안면통 | 측두근, 내측익돌근 등과 연계되어 안면 통증이나 두통 유발 가능 |
비대칭적인 턱 움직임 | 한쪽만 과도하게 활성화 시 턱의 정렬 이상 가능 |
🧘♀️ 이완 및 재활 운동
✅ 1. 외측익돌근 셀프 마사지
- 위치: 귀 앞, 광대 아래 깊숙한 부위 (입을 벌릴 때 딸깍 소리 나는 부위)
- 방법: 엄지나 지압봉으로 입 안쪽 뺨 안을 눌러 근육에 압박 → 10~15초 × 3회 반복
- 주의: 깊은 부위라 부드럽고 천천히 해야 하며, 심한 통증은 전문가 상담 필요
✅ 2. 관절원판 정렬 스트레칭 (디스크 재위치 운동)
- 방법: 아래턱을 손가락으로 아래-뒤 방향으로 부드럽게 당기며 천천히 입 벌리기
- 목적: 관절원판의 정렬을 도와 TMJ 통증 완화
✅ 3. 혀 천장 붙이기 + 개구운동
- 설명: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입을 천천히 벌려 외측익돌근의 협응력 회복
✅ 4. 냉온찜질 병행
- 냉찜질: 염증성 통증 완화 (10분)
- 온찜질: 긴장된 근육 이완 (10~15분)
🏋️♂️ 근육 재활 & 강화를 위한 운동
운동설명
턱 개구 저항운동 | 손으로 아래턱을 가볍게 누르면서 입을 벌려 저항 부여 |
측방 이동 저항운동 |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손으로 반대 방향 저항 |
👉 주의: 운동은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시행하고, 무리하지 말 것!
🎯 요약 정리
항목내용
기시 | 측두골 큰날개, 외측익돌판 |
정지 | 하악골 경부, 턱관절 디스크 |
기능 | 턱 열기, 턱 전진, 턱 좌우 이동 |
문제점 | 턱관절 장애, 클릭음, 개구 제한, 안면통 |
운동 | 마사지, 저항운동, 디스크 정렬 운동, 찜질 |
💬 마무리
“외측익돌근은 우리가 입을 여는 유일한 저작근이자, 턱관절 건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매일 3분의 마사지와 개구 운동으로 턱의 통증, 딸깍 소리, 얼굴 비대칭까지 예방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