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골(Sternum) 해부학 정보 (위치, 구조, 기능)

2025. 6. 20. 09:15해부학/뼈

반응형

🦴 흉골(Sternum, 복장뼈) – 가슴 한가운데를 지키는 중심 뼈

복부에 손을 얹고 가슴 바로 위, 중앙을 눌러보면 단단하게 만져지는 뼈가 있습니다.
바로 흉골(Sternum)입니다.
이 뼈는 우리 몸에서 중요한 보호 역할과 구조적 안정성을 담당하며,

갈비뼈와 함께 흉곽(가슴우리)을 완성하는 중심적인 뼈입니다.


📍 흉골이란?

흉골(Sternum)은 우리 몸 가슴 중앙에 위치한 납작한 뼈로, 늑골(갈비뼈)과 함께 흉곽을 형성하고 내부 장기를 보호합니다.
심장, 폐, 주요 혈관을 직접적으로 감싸는 전면 보호막과 같은 역할을 하며, 갈비뼈의 앞쪽 끝과 연결되어

전체적인 흉곽의 형태를 지지합니다.


🧱 흉골의 구조

흉골은 크게 3개의 부위로 나뉩니다.

부위이름설명
1️⃣ 상흉골 복장뼈자루(Manubrium) 흉골의 윗부분, 빗장뼈(쇄골)와 제1·제2늑골과 연결됨
2️⃣ 흉골체 몸통(Body) 가장 큰 부분, 제2~제7늑골과 연결되어 흉곽의 중심을 이룸
3️⃣ 검상돌기 칼돌기(Xiphoid process) 가장 아랫부분, 작고 얇은 돌기 형태로 복직근이 부착됨
 

🔹 복장뼈자루와 흉골체 사이의 만나는 부위는 흉골각(Angle of Louis) 라고 하며, 제2늑골을 찾는 기준점입니다.


🫀 흉골의 주요 기능

기능설명
🛡️ 장기 보호 심장, 폐, 대혈관 등 중요 장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 흉곽 구조 유지 늑골의 앞쪽을 지지해 흉곽의 형태를 안정화
🔗 근육 부착점 대흉근, 복직근 등 중요한 근육의 부착지점
🩺 임상 진단 기준 제2늑골 위치 확인, 심폐 소리 청진, 심장 마사지 기준점 등으로 사용
 

🩹 흉골 관련 질환과 증상

질환/증상설명
흉골염 흉골에 염증이 생겨 통증 유발 (흉골부 통증, 부종)
흉골 골절 강한 충격(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발생. 호흡 시 통증 심함
흉골 돌출(새가슴) 선천적으로 흉골이 과도하게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
흉골 함몰(오목가슴) 흉골이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 심폐기능 저하 가능성 있음
흉골통증 자세 불균형, 근육 긴장 또는 연골염 등으로 발생
 

💡 흉골과 호흡, 자세의 연관성

  • 흉골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폐가 충분히 팽창할 수 있어 호흡이 깊고 원활해짐
  • 흉골이 함몰되거나 들려있으면, 흉곽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며 호흡량이 줄고, 자세가 무너짐
  • 흉골 주위의 근육(대흉근, 복직근, 늑간근 등)을 이완하고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

🧘 흉골 건강을 위한 운동

운동/스트레칭효과
가슴 열기 스트레칭 흉골 주위 근육 이완, 흉곽 가동성 향상
흉곽 호흡 연습 횡격막과 늑간근 활성화, 흉골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유도
흉추 교정 운동 흉골 전방 경사나 함몰 예방, 호흡 효율 향상
코브라 자세 복장뼈 개방과 흉추 신전 유도에 효과적
 

📝 마무리 요약

항목내용
이름 흉골 (Sternum), 복장뼈
구성 복장뼈자루(Manubrium), 몸통(Body), 칼돌기(Xiphoid Process)
기능 흉곽 중심 지지, 장기 보호, 근육 부착, 호흡에 관여
주요 질환 흉골염, 골절, 흉골 함몰/돌출, 흉골통증
관리법 올바른 자세, 흉곽 스트레칭, 호흡 운동 등
 

✨ 마무리

작고 납작한 뼈 하나지만, 흉골은 우리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버팀목입니다.
자세가 무너지거나 가슴이 답답하게 느껴질 때,
복장뼈의 정렬과 움직임을 한 번 생각해보세요.
흉골을 열면, 호흡이 열리고 몸이 살아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