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근(Masseter)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5. 25. 00:03ㆍ해부학/근육
반응형
😬 교근(Masseter)
“씹는 힘의 핵심, 얼굴의 가장 강력한 근육”
📌 기본 정보
항목내용
이름 | 교근 (Masseter muscle) |
분류 | 저작근 (masticatory muscle) |
신경 | 하악신경 (mandibular nerve, 삼차신경 CN V3) |
위치 | 턱뼈(하악골) 옆 바깥쪽에 위치한 강한 근육 |
🧬 기시 (Origin)
구분부위
표층부 | 광대궁(cheekbone)의 앞쪽 절흔 (zygomatic process of maxilla & anterior two-thirds of the zygomatic arch) |
심부 | 광대궁의 뒤쪽 깊은 부분 (posterior third of zygomatic arch) |
🧬 정지 (Insertion)
- 하악골 외측 표면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ramus and angle)
→ 턱뼈의 각도와 가지 바깥쪽에 부착
⚙️ 기능 (Function)
기능설명
하악골 상승 | 아래턱(하악골)을 위로 올려 씹는 동작(저작) 수행 |
측방 운동 보조 | 좌우 턱 움직임에도 일부 관여 |
얼굴 외형 유지 | 발달 시 하관이 발달되어 보이며, 무의식적 습관에도 민감 |
⚠️ 문제점 (Issues)
문제설명
교근 비대증 | 한쪽 저작 습관, 이갈이, 이 악물기 등으로 비대해져 얼굴 비대칭, 사각턱 유발 |
턱관절 장애(TMJ) | 과긴장으로 관절에 통증 및 소리 발생 가능 |
두통 및 안면 통증 | 과긴장이 측두근과 연계되어 두통 유발 가능 |
수면 중 이갈이(Bruxism) | 무의식적 이갈이는 교근을 과도하게 활성화시켜 통증 유발 |
🏋️♂️ 강화 운동
일반적으로 교근은 이미 과활성화된 경우가 많아 강화 운동보다는 이완, 스트레칭, 교정이 우선됩니다. 하지만 저작 기능 저하나 노년기 위축에 대해선 적절한 자극이 필요합니다.
✅ 저작 운동 (Chewing Exercise)
- 방법: 양쪽으로 균형 있게 오물거리기 (단단하지 않은 음식 사용)
- 목적: 저작 기능 활성화, 양측 근육 균형 회복
🧘♀️ 이완 & 스트레칭
✅ 1. 손가락 교근 마사지
- 위치 찾기: 어금니를 꽉 깨물었을 때 튀어나오는 턱 옆 근육
- 방법: 손끝이나 마사지 도구로 원을 그리며 천천히 압박 → 30초씩 양쪽 반복
✅ 2. 입벌리기 스트레칭
- 방법: 입을 천천히 최대한 벌려 5초 유지 → 다시 닫기 (5회 반복)
- 목적: 과긴장된 교근을 이완하고 턱관절의 유연성 확보
✅ 3. 혀 누르기 스트레칭
- 방법: 입천장에 혀를 누르고 입 벌리기
- 효과: TMJ 안정화 + 교근 활성도 감소
🎯 요약 정리
항목내용
기시 | 광대궁 앞, 뒤쪽 |
정지 | 하악골 외측 표면 |
기능 | 씹기, 턱 상승, 측방 운동 보조 |
문제점 | 비대칭, 사각턱, 이갈이, 턱관절 장애, 두통 |
운동 | 저작 운동(강화), 손 마사지, 입 벌리기(이완 중심) |
💬 마무리
"교근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강력한 얼굴 근육입니다. 하지만 무의식적인 습관들이 얼굴 비대칭이나 턱관절 문제로 이어질 수 있죠. 교근 관리, 지금부터 시작해보세요!"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4) | 2025.05.27 |
---|---|
측두근(Tempora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1) | 2025.05.26 |
가자미근(Sole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5) | 2025.05.24 |
비복근(Gastrocnemi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7) | 2025.05.23 |
단비골근(Perone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3)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