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골근(두덩근, Pectine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5. 7. 09:30ㆍ해부학/근육
반응형
💡 치골근(Pectineus) – 고관절 앞·안쪽의 핵심 근육
**치골근(Pectineus)**은 허벅지 안쪽, 대퇴 앞쪽 깊숙한 곳에 위치한 작은 근육으로, 고관절 움직임의 안정성과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겸손하지만 영향력 있는 근육입니다!
📌 기본 정보
항목내용
한글 명칭 | 치골근 또는 두덩근 |
영어 명칭 | Pectineus |
위치 | 넓적다리 안쪽 상부 (내전근군 중 가장 앞쪽) |
분류 | 넓적다리 내전근(adductor group) 중 하나이자, 굴곡근 역할도 함 |
🔸 기시 (Origin)
- 치골능 (Pectineal line of the pubis)
– 치골의 위쪽 경계 부위에서 시작됩니다.
🔸 정지 (Insertion)
- 대퇴골의 치골선 (Pectineal line of femur)
– 대퇴골 뒤쪽, 소전자 아래쪽과 거친선 위쪽 사이
⚙️ 기능 (Function)
기능 범주설명
고관절 굴곡 | 다리를 앞으로 들어 올림 |
고관절 내전 | 다리를 안쪽으로 모음 |
고관절 약간의 외회전 | 다리를 약간 바깥쪽으로 돌림 |
✔️ 고관절의 전면 안정성과 중심부 코어 기능에 기여
✔️ 보행, 달리기, 사이드 스텝 등 실생활 움직임에서 자주 사용되는 근육
🧠 신경 지배
- 대퇴신경(Femoral nerve) – L2, L3
- 일부 개인에서는 **폐쇄신경(Obturator nerve)**도 관여
🩺 임상 포인트
- 짧고 깊은 근육이므로 스트레칭이 쉽지 않으며, 긴장되기 쉽습니다.
- 고관절 내전근 군 중 가장 위쪽에 있어 앞쪽 사타구니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고관절 충돌 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에서 연관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 스트레칭 & 강화 운동
✔️ 스트레칭
- 서서 안쪽 허벅지 스트레칭 (한쪽 다리 옆으로 뻗고 체중 싣기)
- 나비 자세 (Butterfly Stretch): 발바닥을 붙이고 무릎을 바닥으로 눌러줌
✔️ 강화 운동
- 밴드 내전 운동: 밴드 연결 후 다리를 안쪽으로 끌어당기기
- 볼 스퀴즈(Swiss ball squeeze): 무릎 사이에 볼을 두고 압박
- 사이드 런지: 내전근군 전체 강화에 효과적
🧠 운동/재활 팁
- 햄스트링이나 고관절 굴곡근 단축 시 함께 긴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들과 함께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무릎/고관절 정렬 문제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겐 교정 운동으로도 활용됩니다.
✨ 마무리
"치골근은 눈에 띄지는 않지만,
고관절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모두 책임지는 핵심 근육입니다.
균형 잡힌 하체를 원한다면 이 작은 근육도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전근(Adductor Group)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5) | 2025.05.09 |
---|---|
박근(Graci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0) | 2025.05.08 |
봉공근(Sartori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5) | 2025.05.06 |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TFL)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7) | 2025.05.05 |
이상근(Piriform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7)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