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근(Adductor Group)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5. 9. 08:00해부학/근육

반응형

 

💪 내전근(Adductor Group) 완벽 정리

내전근은 허벅지 안쪽에서 다리를 몸 중심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근육군입니다. 보행, 달리기, 방향 전환, 밸런스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 내전근에 속하는 5가지 주요 근육

  1. 박근 (Gracilis)
  2.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3. 단내전근 (Adductor brevis)
  4. 대내전근 (Adductor magnus)
    • 보조적으로 **치골근 (Pectineus)**도 내전 기능 수행

🧩 각 근육별 정보

1. 박근 (Gracilis)

항목내용
기시 치골 하부 가지 (Inferior ramus of pubis)
정지 경골 내측면, 거위발(Pes anserinus)
기능 고관절 내전, 무릎 굴곡 및 내회전
특징 고관절과 무릎을 모두 지나는 유일한 내전근
 

2.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항목내용
기시 치골결절 근처 (Pubic body near pubic symphysis)
정지 대퇴골 후면의 중간부 (Linea aspera 중간부)
기능 고관절 내전, 굴곡, 약간의 외회전
특징 가장 앞쪽에 위치한 내전근
 

3. 단내전근 (Adductor Brevis)

항목내용
기시 치골 하부 가지 (Inferior ramus of pubis)
정지 대퇴골 후면의 상부 (Linea aspera proximal part)
기능 고관절 내전 및 약간의 굴곡
특징 장내전근과 대내전근 사이에 위치함
 

4. 대내전근 (Adductor Magnus)

항목내용
기시 치골 하부 가지, 좌골 결절 (Inferior pubic ramus & ischial tuberosity)
정지 Linea aspera 및 내측상과 부근 (Adductor tubercle)
기능 고관절 내전, 신전 (뒷섬유), 굴곡 (앞섬유)
특징 내전근 중 가장 크고 강력함, 햄스트링과 유사한 역할도 수행
 

5. 치골근 (Pectineus)

항목내용
기시 치골능 (Pectineal line of pubis)
정지 대퇴골 후내측 (Pectineal line of femur)
기능 고관절 내전, 굴곡, 약간의 내회전
특징 내전근 + 앞쪽에서 작용하는 굴곡 기능도 강함
 

⚙️ 내전근의 주요 기능 요약

기능설명
고관절 내전 다리를 중심선 쪽으로 당김
보행 안정성 체중 이동 시 골반 안정화
밸런스 유지 방향 전환, 점프 착지 시 몸의 균형 조절
보조적 움직임 일부 근육은 굴곡, 신전, 회전 등도 보조함
 

🧠 신경 지배

  • 대부분 폐쇄신경 (Obturator nerve, L2–L4)
  • 대내전근의 일부(햄스트링 부분): 좌골신경 (Sciatic nerve)
  • 치골근: 대퇴신경 (Femoral nerve) 또는 이중 지배

🧘 운동과 재활 팁

✔️ 강화 운동

  • 케이블/밴드 내전 운동
  • 슬라이더 사이드 런지
  • 볼 사이 squeeze 운동
  • 힙 어덕션 머신

✔️ 스트레칭

  • 개구리 자세 (Frog stretch)
  • 측면 런지 스트레칭
  • 접근 다리 벌리기 자세

💬 마무리

"내전근은 단순히 '허벅지 안쪽 근육'이 아닙니다.
움직임의 균형, 고관절 안정성, 방향 전환까지 책임지는 핵심 근육군이죠!
하체 운동 루틴에서 내전근을 절대 소홀히 하지 마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