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직근(Rectus Femor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5. 10. 10:18ㆍ해부학/근육
반응형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완전 정복
대퇴직근은 허벅지 앞쪽에 위치한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의 한 부분으로, 유일하게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동시에 지나는 이관절근입니다. 강력한 무릎 펴기 기능과 함께, 고관절 굴곡에도 관여합니다.
📌 기본 정보
항목내용
근육명 (한글/영문) | 대퇴직근 / Rectus Femoris |
소속 |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의 일부분 |
신경 지배 | 대퇴신경 (Femoral nerve, L2–L4) |
🧬 기시(origin)
- 전하장골극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AIIS)
- 비구상연 위쪽 (Superior rim of acetabulum)
👉 즉, 골반에서 시작되므로 고관절을 가로지릅니다.
🧬 정지(insertion)
- 슬개골 기저부 (Base of patella)
- 이후 **슬개건(patellar tendon)**을 통해
→ **경골 조면(tibial tuberosity)**에 부착됨
👉 다른 대퇴사두근들과 함께 무릎을 펴는 힘을 생성합니다.
⚙️ 기능(action)
기능 구분설명
고관절 굴곡 | 허벅지를 들어올리는 작용 (예: 레그레이즈) |
무릎 신전 | 다리를 펴는 작용 (예: 스쿼트 일어설 때) |
이관절 근육 | 고관절과 무릎을 모두 지남 — 움직임 중 복합적 역할 |
🧠 특징 및 팁
- 이관절근이기 때문에,
👉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 (예: 앉은 자세)에서는
👉 무릎 신전 능력이 부분적으로 제한됨 - 운동 중 관찰 예시
- 런지, 레그 익스텐션, 킥 동작 등에서 활성화
- 특히 고관절이 펴진 상태에서 다리 들어올리기(예: 직각 다리 들기)에 중요
- 근육 강화 시 주의
- 과사용 시 엉덩이 앞쪽 타이트함 → 요추 과신전 유발 가능
- 허리 통증 예방을 위해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 병행 필요
🧘 대퇴직근 스트레칭 & 강화
✅ 스트레칭
- 프론트 런지 스트레치 (뒤쪽 무릎 굽혀 유지)
- 엎드린 다리 잡기 스트레치 (힙 다운, 무릎 뒤로)
✅ 강화 운동
- 레그 익스텐션 머신
- 레그 레이즈 (직각 다리 들기)
- 킥 동작 포함한 저항 밴드 운동
💬 마무리
"대퇴직근은 고관절과 무릎 모두를 조절하는 다재다능한 근육입니다.
하체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고, 일상 속 안정성과 퍼포먼스를 높이는 핵심!
올바른 강화와 유연성 관리가 필수입니다."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7) | 2025.05.12 |
---|---|
내측광근(Vastus Media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7) | 2025.05.11 |
내전근(Adductor Group)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5) | 2025.05.09 |
박근(Graci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0) | 2025.05.08 |
치골근(두덩근, Pectine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9)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