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형근(Rhomboid)_ 대능형근, 소능형근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2025. 3. 15. 22:16ㆍ해부학/근육
반응형
능형근(Rhomboid muscle)은 몸의 뒤쪽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으로, 주로 어깨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은 두 개의 근육으로 나뉘며, 각각 대능형근(Rhomboid major)과 소능형근(Rhomboid minor)으로 구분됩니다. 이 두 근육은 모두 등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깨와 상체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두 근육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 근육의 기시, 정지, 기능 등을 다뤄보겠습니다.
1. 대능형근 (Rhomboid Major)
- 기시(Origin): 대능형근은 T2~T5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의 흉추)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에서 기시합니다.
- 정지(Insertion): 이 근육은 어깨뼈의 내측면, 즉 어깨날개(scapula)의 척추 경계(vertebral border)에 정지합니다.
- 기능(Function): 대능형근은 어깨뼈를 뒤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즉, 어깨뼈를 척추 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어깨뼈의 회전(scapular retraction)을 유도합니다. 또한, 어깨뼈를 안정시키고, 상체를 안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소능형근 (Rhomboid Minor)
- 기시(Origin): 소능형근은 C7~T1 (일곱 번째 목추와 첫 번째 흉추)의 가시돌기에서 기시합니다.
- 정지(Insertion): 이 근육은 대능형근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며, 어깨뼈의 내측 경계, 특히 어깨날개의 위쪽에 정지합니다.
- 기능(Function): 소능형근은 대능형근과 비슷하게 어깨뼈를 뒤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어깨뼈의 안정성을 돕고, 상체와 어깨의 다양한 움직임에서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이 근육은 상체를 움직일 때 어깨뼈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능형근의 기능
능형근은 어깨뼈를 안정시키고, 어깨와 상체의 다양한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깨뼈의 회전 (Scapular Retraction): 능형근은 어깨뼈를 척추 쪽으로 당겨서 어깨뼈가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팔을 앞으로 뻗을 때, 어깨뼈가 올바른 위치에 있도록 유지합니다.
- 어깨뼈의 내회전 (Scapular Downward Rotation): 능형근은 어깨뼈를 아래로 내리는 역할도 합니다. 팔을 내리고 어깨가 자연스럽게 내회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상체 안정화 (Upper Body Stabilization): 능형근은 상체와 어깨뼈를 연결하여, 상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팔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근육이 없으면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어깨뼈의 위치 조정: 능형근은 어깨뼈가 움직일 때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합니다. 팔꿈치가 높이 들리거나 팔이 특정 각도로 움직일 때, 어깨뼈의 위치를 조정하여 팔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능형근의 중요한 운동
능형근을 강화하고 개선하는 운동은 어깨와 상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운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우 운동 (Rowing exercises): 바벨 로우, 덤벨 로우, 시티드 로우 등은 능형근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이 운동은 어깨뼈를 뒤로 당기는 동작이 포함되어 능형근을 자극합니다.
- 펙 덱 플라이 (Reverse flys): 덤벨을 사용하거나 기계로 수행할 수 있는 이 운동은 능형근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 어깨뼈를 뒤로 당기며 팔을 벌려주기 때문에 능형근에 좋은 자극을 줍니다.
- 슈러그 (Shrug): 어깨를 위로 끌어올리는 동작으로, 능형근뿐만 아니라 트랩과 같은 상체 근육을 함께 강화하는 데 좋습니다.
- 풀업 (Pull-ups): 풀업을 할 때 능형근은 어깨뼈를 뒤로 당기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능형근을 자극하는 운동으로 효과적입니다.
결론
능형근은 어깨와 상체의 움직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능형근과 소능형근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의 강화를 통해 어깨의 안정성, 상체의 균형, 그리고 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능형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Supraspinatus)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회전근개) (0) | 2025.03.17 |
---|---|
소흉근(Pectoralis min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통증, 스트레칭, 운) (0) | 2025.03.16 |
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0) | 2025.03.14 |
사각근(Scalenus)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것 (기시, 정지, 기능, 문제, 스트레칭) (0) | 2025.03.13 |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의 해부학적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