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상근(Supraspinatus)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회전근개)

2025. 3. 17. 09:52해부학/근육

반응형

극상근(Supraspinatus) 해부학적 이해

 

1. 극상근의 정의

극상근은 어깨뼈(견갑골)의 극상와(Supraspinous fossa)에 위치하며, 상완골의 대결절(Greater tubercle)로 이어지는 근육입니다. 회전근개(Rotator Cuff) 네 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중 하나로, 어깨 관절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2. 극상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기시(Origin)

  • 견갑골(Scapula)의 극상와(Supraspinous fossa)

정지(Insertion)

  • 상완골(Humerus)의 대결절(Greater tubercle) 상부

 


3. 극상근의 기능(Function)

  1. 어깨 외전(Abduction) 시작
    • 극상근은 삼각근(Deltoid)과 함께 어깨를 외전(Abduction, 팔을 옆으로 드는 동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특히 외전 초기 15도까지 극상근이 주도적으로 작용하며, 이후 삼각근이 주도권을 가져갑니다.
  2. 견관절(어깨 관절)의 안정성 유지
    • 극상근은 회전근개 중 하나로, 상완골두(Humeral head)를 관절와(Glenoid fossa)에 단단히 고정하여 어깨 관절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4. 극상근 손상과 증상

극상근 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

  • 극상근 힘줄이 반복적인 마찰이나 과사용으로 염증이 생기는 질환
  • 증상: 어깨를 올릴 때 통증, 야간 통증, 팔을 들기 어려움

극상근 파열(Supraspinatus Tear)

  • 극상근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찢어지는 상태
  • 증상: 팔을 올릴 때 힘이 들어가지 않거나 통증, 특정 각도에서 걸리는 느낌

 


 

5. 극상근 강화 및 스트레칭 운동

극상근 강화 운동

  • 숄더 외전 운동(Shoulder Abduction with Resistance Band)
  • 페이스 풀(Face Pull)
  •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Side Lateral Raise) – 가벼운 중량으로 수행

극상근 스트레칭

  • 크로스 바디 스트레치(Cross-Body Shoulder Stretch)
  • 도어 프레임 스트레치(Doorway Stretch)

 


 

6. 결론

극상근은 어깨 외전과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적절한 강화 운동과 스트레칭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트레이너나 운동선수들은 극상근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예방적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