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근(Teres min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3. 19. 09:39ㆍ해부학/근육
반응형
📌 소원근(Teres Minor)
소원근은 견갑골의 외측연(lateral border of scapula)에서 시작하여 상완골의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로 연결되는 작은 근육입니다. 극하근과 함께 어깨 외회전에 기여하며, 상완골의 위치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해부학적 정보
📍 기시(Origin)
- 견갑골 외측연(Lateral border of scapula)
📍 정지(Insertion)
- 상완골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 inferior facet)
📍 신경 지배(Nerve Supply)
- 액와신경(Axillary Nerve, C5-C6)
📍 혈액 공급(Blood Supply)
- 견갑회선동맥(Circumflex scapular artery)
🏋️ 소원근의 기능(Function)
✅ 1. 어깨 외회전(External Rotation)
- 극하근과 함께 팔을 외회전(바깥쪽으로 돌리는 동작)시키는 역할
- 대표적인 예: 팔을 몸 옆에서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테니스 백핸드, 야구 투구 동작)
✅ 2. 어깨 관절 안정화(Shoulder Joint Stabilization)
- 소원근은 회전근개의 일부로서, 상완골이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Cavity)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돕습니다.
- 대표적인 예: 벤치프레스, 숄더 프레스 등 상체 운동 시 어깨 보호
✅ 3. 상완골의 후방 견인(Posterior Pull)
- 어깨 관절을 안정화하면서 팔을 후방으로 당기는 역할
- 대표적인 예: 로우(row) 운동 시 견갑골이 안정적으로 유지됨
🚨 소원근이 약하거나 손상되면 발생하는 문제점
✅ 1. 어깨 불안정성
- 소원근이 약해지면 어깨 관절의 안정성이 감소하여 탈구 위험 증가
✅ 2. 외회전 약화
- 팔을 외회전하는 능력이 떨어져 스포츠 퍼포먼스 저하
- 예: 테니스, 야구 선수들이 투구나 스윙 시 어깨 부상을 입기 쉬움
✅ 3. 회전근개 손상(Rotator Cuff Injury)
- 소원근이 약하면 다른 근육(특히 삼각근과 극하근)에 과부하가 걸려 회전근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소원근 강화 운동
▶ 1. 저항 밴드 외회전(Band External Rotation)
- 밴드를 고정한 후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팔을 바깥쪽으로 회전
- 소원근 및 극하근 강화에 효과적
▶ 2. 덤벨 숄더 익스터널 로테이션(Dumbbell Shoulder External Rotation)
- 가벼운 덤벨을 사용해 누운 상태에서 팔을 외회전하는 운동
- 회전근개 강화에 매우 효과적
▶ 3. 페이스 풀(Face Pull)
- 케이블 머신이나 밴드를 이용해 얼굴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
- 후면 삼각근, 극하근, 소원근을 동시에 강화
▶ 4. 사이드 라잉 익스터널 로테이션(Side-Lying External Rotation)
-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덤벨을 사용해 팔을 외회전
- 초보자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운동
🏆 소원근을 강화하면 얻을 수 있는 효과
✔ 어깨 관절 안정성 증가
✔ 스포츠 퍼포먼스 향상(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등)
✔ 오버헤드 동작 수행 능력 향상
✔ 회전근개 손상 예방 및 재활 효과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근(Deltoid)의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0) | 2025.03.21 |
---|---|
견갑하근(Subscapularis)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3) | 2025.03.20 |
극하근(Infraspinatus)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0) | 2025.03.18 |
극상근(Supraspinatus)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회전근개) (0) | 2025.03.17 |
소흉근(Pectoralis min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통증, 스트레칭, 운)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