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흉근(Pectoralis min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통증, 스트레칭, 운)

2025. 3. 16. 18:27해부학/근육

반응형

 

소흉근(Pectoralis Minor) 해부학적 이해

 

1. 소흉근의 정의

소흉근(Pectoralis Minor)은 대흉근 아래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얇은 근육으로, 주로 견갑골(어깨뼈)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관여합니다.

 


2. 소흉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 기시(Origin): 제3~5번 늑골(갈비뼈, Ribs 3-5) 앞면
  • 정지(Insertion):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 견갑골(어깨뼈)의 앞쪽 돌기

소흉근은 갈비뼈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오훼돌기에 붙습니다. 이로 인해 흉곽과 견갑골을 연결하며, 어깨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소흉근의 기능(Function)

견갑골의 전인(Protraction, 앞으로 내밈)
→ 견갑골을 앞쪽으로 당겨 어깨를 앞으로 내미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는 푸쉬업, 펀치 동작과 같은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의 하강(Depression, 아래로 당김)
→ 견갑골을 아래로 끌어당겨 어깨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턱걸이(풀업)에서 몸을 내릴 때 작용합니다.

견갑골의 하방회전(Downward Rotation)
→ 견갑골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며, 팔을 내릴 때 도움을 줍니다.

호흡 보조 역할(Accessory Muscle of Respiration)
→ 강제 호흡 시(예: 격렬한 운동 후) 소흉근이 활성화되어 갈비뼈를 들어 올려 깊은 호흡을 돕습니다.

 


 

4. 소흉근과 관련된 문제 및 통증

 

📌 소흉근 단축(Pectoralis Minor Tightness)

  • 장시간 앉아 있거나, 전방으로 어깨가 말린 자세(거북목, 라운드 숄더)를 유지하면 소흉근이 짧아지고 긴장됩니다.
  • 이로 인해 어깨 통증, 상부 승모근 과긴장, 호흡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흉근과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

  • 소흉근이 과하게 긴장하면 흉곽출구를 압박하여 신경 및 혈관을 눌러 팔 저림,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소흉근 스트레칭 & 강화 운동

 

🔹 소흉근 스트레칭

  • 문 스트레칭(Doorway Stretch): 문틀에 팔을 올리고 가슴을 앞으로 밀어 소흉근을 늘려줍니다.
  • 폼롤러 스트레칭: 폼롤러 위에 누워 팔을 벌려 가슴을 이완시킵니다.

🔹 소흉근 강화 운동

  • 푸쉬업(Push-up): 소흉근을 포함한 흉부 근육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운동
  • 딥스(Dips): 소흉근과 삼두근을 강화하는 운동
  • 밴드 풀다운(Band Pulldown): 저항 밴드를 사용해 견갑골 하강을 유도하는 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