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쇄유돌근_SCM(Sternocleidomastoid)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운동)
2025. 3. 11. 09:51ㆍ해부학/근육
반응형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SCM)
흉쇄유돌근은 목 앞쪽에서 쉽게 만질 수 있는 근육으로, 목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이 짧아지거나 긴장하면 목 통증이나 두통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 중 하나이다.
1. 흉쇄유돌근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Origin)
흉쇄유돌근은 두 개의 머리(Clavicular & Sternal Head)로 나뉘어 기시한다.
- 복장머리(Sternal Head): 흉골의 앞쪽(복장뼈, Manubrium of Sternum)에서 시작
- 쇄골머리(Clavicular Head): 쇄골 내측 1/3 지점에서 시작
정지 (Insertion)
- 유양돌기(Mastoid Process, 측두골)
- 상항선(Lateral part of Superior Nuchal Line, 후두골)
즉, 흉쇄유돌근은 가슴 쪽에서 시작하여 머리 뒤쪽의 유양돌기에 붙는 구조이다.
2. 흉쇄유돌근의 기능 (Function)
흉쇄유돌근은 목과 머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① 한쪽만 수축할 때 (Unilateral Contraction)
- 목의 측굴 (Lateral Flexion, Side Bending): 같은 쪽으로 머리를 기울인다.
- 목의 반대쪽 회전 (Contralateral Rotation): 반대 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
- 예를 들어, 오른쪽 흉쇄유돌근이 수축하면 머리는 왼쪽으로 회전한다.
② 양쪽이 함께 수축할 때 (Bilateral Contraction)
- 목의 굴곡 (Neck Flexion): 고개를 앞으로 숙인다.
- 보조적인 흉곽 거상 (Accessory Muscle for Respiration): 호흡할 때 보조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깊은 호흡 시 흉곽을 들어올려 도와준다.
3. 흉쇄유돌근과 자세 및 통증
(1) 거북목 증후군과 연관성
- 현대인들은 스마트폰 사용이나 장시간의 앉은 자세로 인해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 FHP)**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흉쇄유돌근이 지속적으로 단축되면 머리가 앞으로 빠지고, 목과 어깨의 불균형이 생긴다.
(2) 흉쇄유돌근의 긴장과 통증
- 흉쇄유돌근이 과도하게 긴장되면 두통, 어지러움, 안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특히 편두통과 관련된 근육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성적으로 뻣뻣한 경우 손으로 눌렀을 때 방사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4.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 마사지 방법
(1)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 목을 반대쪽으로 돌린다. (예: 오른쪽 흉쇄유돌근을 스트레칭하려면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다.)
- 뒤로 젖혀준다. (고개를 뒤로 넘겨 흉쇄유돌근이 신장되도록 한다.)
- 20~30초 유지 후 반대쪽도 동일하게 반복한다.
(2) 마사지 방법
- 엄지와 검지를 사용해 흉쇄유돌근을 살짝 집어 올린 후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 너무 강한 압력은 피하고, 지압하면서 천천히 근육을 풀어준다.
5. 흉쇄유돌근 단련을 위한 운동
(1) 목 저항 운동 (Isometric Neck Exercise)
- 손바닥을 이마에 대고 밀면서 목 근육에 힘을 주고 버틴다.
- 같은 방법으로 머리 옆쪽에도 손을 대고 밀면서 버틴다.
- 각 방향으로 10초씩 3세트 반복한다.
(2) 고개 들어 올리기 (Neck Lift)
-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턱을 살짝 당긴 후 고개를 들고 버틴다.
- 10초 유지 후 천천히 내려놓는다.
- 10회 3세트 진행한다.
결론
흉쇄유돌근은 목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 나쁜 자세 등으로 인해 쉽게 긴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 건강한 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스트레칭, 마사지, 적절한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형근(Rhomboid)_ 대능형근, 소능형근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0) | 2025.03.15 |
---|---|
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0) | 2025.03.14 |
사각근(Scalenus)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것 (기시, 정지, 기능, 문제, 스트레칭) (0) | 2025.03.13 |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의 해부학적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0) | 2025.03.12 |
승모근(Trapezius)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신경지배, 혈액, 운동, 스트레칭)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