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거근(Levator scapulae)의 해부학적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2025. 3. 12. 11:34ㆍ해부학/근육
반응형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견갑거근은 목에서 시작하여 어깨뼈(견갑골)까지 이어지는 근육으로, 이름 그대로 "견갑골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자세가 좋지 않거나 긴장 상태가 지속되면 쉽게 뭉치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1. 견갑거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 기시(origin, 시작점):
- 경추(C1~C4)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
- 즉,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목뼈(경추)에서 시작된다.
- 정지(insertion, 닿는 부위):
- 견갑골(superior angle of scapula)의 상각 및 내측연(medial border)
- 쉽게 말해, 견갑골의 위쪽 모서리와 안쪽 경계 부분에 붙는다.
2. 견갑거근의 기능(function)
견갑거근은 주로 어깨와 관련된 움직임을 담당하며,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견갑골 거상(Elevation of Scapula)
- 견갑골을 위로 들어 올리는 역할
- 예: 어깨를 으쓱하는 동작
- 견갑골 하방 회전(Downward Rotation of Scapula)
-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역할
- 예: 턱을 당기고 어깨를 움츠리는 자세
- 경추 측굴(Lateral Flexion of Cervical Spine)
- 한쪽 견갑거근이 수축하면 목이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 경추 회전(Ipsilateral Rotation of Cervical Spine)
- 한쪽 견갑거근이 수축하면 목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3. 견갑거근의 신경 지배(nerve supply)
- 등쪽견갑신경(Dorsal Scapular Nerve, C5)
- 경추 신경(C3, C4)
- 주로 C3~C5 신경에서 분포하며, 특히 C5에서 나온 등쪽견갑신경이 주요 역할을 한다.
4. 견갑거근과 관련된 증상
견갑거근은 장시간 긴장 상태로 있거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쉽게 뭉치고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 근육 뭉침과 통증(Trigger Point)
- 목과 어깨 사이가 뻐근하거나 결리는 느낌
- 두통, 어깨 통증을 동반할 수 있음
- 거북목 증후군과의 관계
- 목이 앞으로 빠진 거북목 자세가 지속되면 견갑거근이 단축되어 통증이 유발됨
- 어깨 움직임 제한
- 견갑거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견갑골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음
5. 견갑거근 이완 및 스트레칭 방법
견갑거근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스트레칭과 마사지 방법이 효과적이다.
① 견갑거근 스트레칭
- 오른쪽 견갑거근을 스트레칭하려면 왼손으로 머리를 잡고 왼쪽으로 기울인다.
- 턱을 약간 아래쪽으로 당겨 어깨와 거리를 멀리 한다.
- 20~30초간 유지한 후 반대쪽도 동일하게 수행한다.
② 폼롤러 & 마사지볼 이용한 이완
- 마사지볼이나 폼롤러를 사용해 견갑거근이 붙는 부분(어깨와 목 연결 부위)을 눌러 근육을 풀어준다.
- 벽에 마사지볼을 대고 견갑거근 부위를 문질러 주면 효과적이다.
6. 운동 시 주의할 점
- 견갑골 위치를 확인하기: 운동 중 견갑골이 과하게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 올바른 자세 유지: 특히 데드리프트, 숄더 프레스 등에서 견갑거근의 과도한 개입을 방지해야 한다.
- 근육 균형 맞추기: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이 과하게 발달하면 어깨 불균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중부·하부 승모근도 함께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