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4. 10. 09:32해부학/근육

반응형

 

장무지굴근 (Flexor Pollicis Longus) 완전 정리

**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은 이름 그대로 **엄지손가락(무지, pollicis)**의 **긴 굴곡근(longus)**입니다.
이 근육은 엄지의 가장 깊은 굴곡을 담당하며, 엄지를 구부리는 유일한 근육이에요.


📌 기본 정보

항목설명
한글명 장무지굴근
영문명 Flexor Pollicis Longus (FPL)
주요 역할 엄지손가락 끝마디 굴곡 (IP 관절 굽힘)
신경 지배 정중신경 – 전골간지 (anterior interosseous nerve, C8~T1)
혈액 공급 전골간동맥 (anterior interosseous artery)

📍 기시 (Origin)

  • 요골의 전면 중앙부 (anterior surface of the radius, middle half)
  • 뼈사이막 (interosseous membrane)

전완 앞쪽 깊은 층에서 시작하며, 요골에서 직접 기시하는 드문 근육 중 하나입니다.


📍 정지 (Insertion)

  • 엄지손가락 원위지골(distal phalanx of the thumb)의 바닥 (base of distal phalanx)

✅ 엄지손가락 끝 마디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엄지의 깊은 굴곡을 담당합니다.


💪 기능 (Function)

관절기능
IP 관절 엄지손가락 끝마디 굴곡 (interphalangeal joint flexion)
MCP 관절 엄지 중간마디 굴곡 보조 (metacarpophalangeal joint flexion)
손목 손목 굴곡 보조 (팔을 구부리는 동작에서 약간 도움)

✅ 일상적으로 펜을 잡기, 단추 끼우기, 휴대폰 타이핑, 글씨 쓰기 같은 동작에 매우 중요한 근육!


🧠 신경 지배 (Nerve Supply)

  • 정중신경(Median nerve)의 전골간지(anterior interosseous nerve, C8~T1)

✅ 만약 전골간신경 손상이 발생하면 엄지손가락 끝마디를 굽히는 기능이 상실될 수 있어요.


⚠️ 임상적 중요성

✅ 1. 전골간신경 증후군 (Anterior Interosseous Syndrome)

  • 전완 깊은 부위에서 신경이 눌릴 경우
  • 장무지굴근, 심지굴근(2,3지), 회외근이 마비됨
  • OK 사인 테스트(엄지-검지 끝을 붙여 원을 만들기) 실패 시 의심 가능

✅ 2. 엄지 기능 장애

  • 장무지굴근 약화 또는 손상 시,
    정교한 손동작, 그립, 집기, 눌러쓰기 등이 어려워짐

✅ 3. 반복 사용에 의한 과사용

  • 스마트폰, 마우스, 필기 등의 반복적인 엄지 사용 → 통증 유발

🏋️‍♂️ 근육 강화 운동

▶ 엄지 굴곡 저항 운동

  •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엄지 끝마디만 굽히는 동작
  • 1015회씩 23세트 반복

▶ 집기 운동 (Pinching)

  • 집게 손가락과 엄지를 이용해 작은 물건(동전, 클립 등)을 반복적으로 집기

🧘‍♂️ 스트레칭 & 이완법

  • 손바닥을 위로 놓고, 반대 손으로 엄지 손가락을 부드럽게 뒤로 젖히기
  • 1520초 유지, 하루 23회 반복

🔍 요약 정리

항목내용
📍 기시 요골 전면 중앙부, 뼈사이막
📍 정지 엄지 원위지골의 바닥
⚙️ 기능 엄지 끝마디 굴곡 (IP 관절), MCP 굴곡 보조, 손목 굴곡 약간
🧠 신경 정중신경 – 전골간지 (C8~T1)
🩺 임상 전골간신경 증후군, 엄지 기능 저하, OK 사인 테스트 활용

📝 마무리 코멘트

장무지굴근은 엄지의 미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근육으로, 우리가 글을 쓰고, 스마트폰을 쓰고, 섬세한 작업을 하는 모든 순간에 작동합니다.
그만큼 중요하면서도 쉽게 과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육 강화가 꼭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