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내전근(Adductor Pollic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4. 11. 09:19ㆍ해부학/근육
반응형
무지내전근 (Adductor Pollicis) 완벽 해부 정리
무지내전근은 엄지손가락(무지, pollicis)을 다른 손가락 쪽으로 모으는 **‘내전’ 동작(adduction)**을 담당하는 강력한 근육입니다.
손바닥 깊숙한 곳에 위치하며, 손의 정밀한 그립과 힘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엄지를 검지나 중지 쪽으로 강하게 모아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펜 잡기, 병뚜껑 열기, 카드 쥐기, 가위 사용하기 등 실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근육이에요.
🔍 무지내전근 기본 정보
항목설명
한글명 | 무지내전근 |
영문명 | Adductor Pollicis |
기능 | 엄지 내전, 엄지와 다른 손가락 사이 좁히기, 그립 강화 |
위치 | 손바닥의 깊은 층 (deep layer of palm) |
신경지배 | 척골신경 (ulnar nerve), 깊은 가지 (deep branch) |
혈액공급 | 깊은 손바닥궁(Deep palmar arch), 제1등쪽 중수동맥 등 |
📌 기시 (Origin)
무지내전근은 두 개의 머리(heads)를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기시점을 가집니다.
- 횡두 (Transverse head)
- **제3중수골(3rd metacarpal)**의 전면
- 손바닥 중앙 깊숙한 곳에서 시작
- 사두 (Oblique head)
- **제2중수골(2nd metacarpal)**의 기저부(base)
- 대능형골(capitate) 및 손목뼈 일부(carpal bones)
✅ 두 머리가 부채꼴 형태로 모여, 하나의 힘줄로 합쳐져 정지 부위에 부착됩니다.
📍 정지 (Insertion)
- 엄지의 근위지골(base of the proximal phalanx of the thumb)
- 종자골(sesamoid bone)과 함께 부착되어, 엄지의 내전 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기능 (Function)
기능 종류설명
무지 내전 | 엄지손가락을 검지 쪽으로 모으는 동작 (손바닥면 기준) |
그립 보조 | 손으로 물건을 꽉 쥐거나 잡을 때 힘을 모아주는 역할 |
섬세한 조작 | 글쓰기, 펜 잡기, 단추 잠그기 등 미세한 손 조작 동작에서 중요 |
✅ 무지내전근은 정확한 엄지의 위치 조절과 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엄지를 집게손가락과 맞닿게 하는 동작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 예시 동작
- 지폐나 카드 쥐기
- 병뚜껑 돌려 열기
- 주사기 잡기
- 스마트폰 가로 그립
- 똑딱이 단추 채우기
🧠 신경 지배 (Nerve Supply)
- 척골신경 (Ulnar nerve, 깊은 가지 deep branch, C8~T1)
✅ 손의 대부분의 작은 근육은 정중신경이 지배하지만, 무지내전근은 예외적으로 척골신경이 지배합니다.
이로 인해 신경 손상 시 감별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 임상적 중요성
✅ 1. 엄지 기능 손실
- 무지내전근이 약화되면 정밀한 손가락 집기 동작이 어려워짐
- 엄지와 검지를 붙여 작은 물건을 잡는 기능이 손상됨
✅ 2. 프롬앙 징후 (Froment’s sign)
- 척골신경 손상 진단에 사용되는 임상 검사
- 종이 한 장을 양손으로 잡고 빼낼 때, 손상된 손은 무지굴근(biceps pollicis longus)을 과사용하여 엄지를 굽히는 동작이 나타남
- 이는 무지내전근이 마비되었음을 의미
✅ 3. 수근관(터널) 외 병변
- 척골신경은 수근관이 아닌 깊은 손바닥 부위에서 지배하므로, 손목이 아닌 손 자체에서 압박이 발생할 수도 있음
🏋️♂️ 강화 운동
▶ 고무 밴드 내전 저항 운동
- 고무 밴드를 두 손가락 사이에 걸고, 엄지를 검지 쪽으로 끌어오는 동작 반복
- 근육에 자극을 주는 저항성 내전 훈련
▶ 물건 집기 훈련
- 지폐, 클립, 카드 등을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 일정 시간 유지
- 미세한 조절력과 내전 기능 향상
🧘♂️ 스트레칭 및 회복
- 엄지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이완
- 손가락 전체를 가볍게 벌리고 손바닥 스트레칭 진행
- 테니스 공 또는 마사지볼로 손바닥 중앙 눌러서 자극 완화
📌 요약 정리
항목내용
📍 기시 | 제2~3 중수골, 대능형골, 손목뼈 등 |
📍 정지 | 엄지 근위지골, 종자골 |
⚙️ 기능 | 엄지 내전, 정밀 그립 보조 |
🧠 신경 | 척골신경 – 깊은 가지 |
🩺 임상 | Froment’s sign, 정밀 기능 약화 시 진단 지표 |
💪 운동 | 고무밴드 저항 운동, 카드 집기 훈련 |
✅ 마무리 코멘트
무지내전근은 작지만 손의 섬세한 기능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근육입니다.
일상적인 작업부터 운동, 악기 연주, 미술, 문서 작업에 이르기까지 손의 정교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9) | 2025.04.14 |
---|---|
무지대립근(Opponens Pollic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9) | 2025.04.12 |
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2) | 2025.04.10 |
원회내근(Pronator Tere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4) | 2025.04.09 |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