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4. 19. 14:44ㆍ해부학/근육
반응형
🌀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 코어의 중심축!
복횡근은 복부 깊숙이 위치한 가장 깊은 복근입니다.
겉에서 잘 보이지 않지만, 몸통 안정성, 자세 유지, 복압 조절에 절대적인 역할을 합니다.
📌 기본 정보
항목내용
한글명 | 복횡근 |
영문명 | Transverse Abdominis |
별칭 | 코르셋 근육, 내부 복근, 코어의 핵심 |
위치 | 외복사근, 내복사근보다 깊은 층. 복벽 가장 깊은 곳 |
근육 분류 | 체간 근육 / 깊은 코어 근육(Deep core muscle) |
🧷 기시(Origin)
복횡근은 여러 부위에서 넓게 기시합니다:
- 제7~12번 늑연골의 내면 (inner surfaces of costal cartilages 7–12)
- 흉요추근막 (thoracolumbar fascia)
- 장골능의 내측 (inner lip of the iliac crest)
- 서혜인대 (inguinal ligament)의 가쪽 절반
👉 흉곽, 척추 주변, 골반까지 광범위하게 기시합니다.
🧷 정지(Insertion)
- 백선(Linea alba)
- 치골능(Pubic crest)
- 치골결절(Pecten pubis) – 내복사근의 근막을 통해
👉 복부 중앙을 가로지르는 백선과 골반 전면부에 정지합니다.
💪 기능(Function)
기능설명
🔹 복압 증가 |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허리 안정화, 배변, 출산, 호흡 등에 기여 |
🔹 몸통 고정 | 척추와 골반을 고정 → 움직일 때 몸통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 |
🔹 자세 유지 | 코어 근육 중에서도 자세 유지와 척추 보호에 핵심적인 역할 |
🔹 강제 호기 보조 | 숨을 강하게 내쉴 때 복부 수축으로 호흡을 보조 |
🎯 왜 ‘코르셋 근육’이라고 불릴까?
복횡근은 근섬유가 가로 방향(transverse) 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복부를 둘러싸듯이 작용합니다.
그래서 복부를 조여주는 '자연 코르셋'처럼 작용하며 허리를 지탱하고 압력을 조절합니다.
🧠 신경 지배
- 하부 흉부신경 (T7~T12)
- 첫 번째 요추신경(L1)
→ 다른 복근들과 유사하게 복부 감각 및 운동을 지배
🩺 임상적 중요성
상황설명
🔸 요통 예방 및 재활 | 복횡근의 활성은 허리 통증을 줄이는 데 핵심 역할 |
🔸 출산 후 복압 회복 | 임신 중 복압과 자세가 무너지면서 복횡근 약화 → 산후 회복 중요 |
🔸 운동 퍼포먼스 향상 | 운동 중 몸통 고정력이 높아져 힘 전달과 효율성 향상 |
🏋️♀️ 복횡근 강화 운동
운동 이름특징
드로인(draw-in) | 배꼽을 안쪽으로 당기며 복횡근 수축 |
데드버그(Dead bug) | 복압 유지하며 팔다리 움직임 조절 |
플랭크(Plank) | 정적인 코어 강화 운동 |
팔로프 프레스(Pallof press) | 몸통 비틀림 저항 훈련으로 복횡근 강화 |
✅ 요약 정리
항목내용
기시 | 늑연골, 흉요추근막, 장골능, 서혜인대 |
정지 | 백선, 치골능, 치골결절 |
기능 | 복압 조절, 척추 안정화, 강제 호기 보조 |
신경 지배 | T7~T12, L1 |
운동 예시 | 드로인, 플랭크, 데드버그 |
✍️ 마무리 코멘트
복횡근은 겉으로 보이지 않지만, 모든 코어 운동과 바른 자세의 시작점입니다.
특히 운동 초보자, 요통 환자, 출산 후 여성 등 모두에게 중요한 근육이죠.
반응형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3) | 2025.04.21 |
---|---|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3) | 2025.04.20 |
복직근(Rectus Abdomin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1) | 2025.04.18 |
늑간극(Intercostalis)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0) | 2025.04.17 |
횡격막(Diaphragm)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13)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