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복사근(Internal Oblique) 해부학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문제점, 운동)

2025. 4. 21. 09:30해부학/근육

반응형

 

💡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 복부의 회전과 안정성을 책임지는 근육!

내복사근은 외복사근 안쪽에 위치한 복부 근육으로, 복근 중에서도 중간층을 담당합니다.
근섬유가 외복사근과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며, 주로 몸통의 회전과 측굴, 복압 형성에 관여합니다.


📌 기본 정보

항목내용
한글명 내복사근
영문명 Internal Oblique
근육 분류 복부 근육 (Abdominal muscle)
위치 외복사근 아래, 복횡근 위 (복부 중간층)

🧷 기시(Origin)

  • 서혜인대(lateral half of inguinal ligament)
  • 장골능(anterior two-thirds of the iliac crest)
  • 요추근막(thoracolumbar fascia)

👉 골반과 허리 주변에서 시작하여 복부 방향으로 퍼집니다.


🧷 정지(Insertion)

  • 제10~12번 늑골의 내측면 (Inferior borders of ribs 10–12)
  • 백선 (Linea alba)
  • 치골 능선 (pecten pubis)

👉 복부의 위쪽과 중앙선, 치골 부위에 붙습니다.


💪 기능(Function)

기능설명
🔹 몸통 굴곡 좌우 내복사근이 함께 작용 → 몸을 앞으로 굽힘
🔹 몸통 회전 한쪽 내복사근이 수축 → 같은 방향으로 몸통 회전 (ex: 오른쪽 내복사근 → 몸을 오른쪽으로 회전)
🔹 측굴(옆으로 굽힘) 한쪽만 수축 시 몸을 해당 방향으로 굽힘
🔹 복압 상승 복강 내 압력을 높여 배변, 기침, 출산, 안정성에 기여
🔹 척추 안정성 깊숙한 위치에서 몸의 중심을 안정시킴 (코어 근육 역할)

🧠 신경 지배

  • 하부 흉부신경 (T7~T12)
  • 요추신경 가지 (L1)

👉 외복사근과 유사한 신경 지배로 함께 작동합니다.


🩺 임상적 중요성

항목설명
✅ 허리 통증 예방 척추와 골반을 안정화하여 요통 완화
✅ 자세 개선 몸통 회전과 측면 안정성 유지
✅ 코어 강화 플랭크나 복부운동에서 중요한 역할
✅ 한쪽만 쓰일 경우 골반 틀어짐이나 척추측만증에 영향 줄 수 있음

🏋️‍♀️ 내복사근 운동

운동 이름효과
데드버그(Dead bug) 몸통 안정성 향상, 심부 복부 근육 자극
사이드 플랭크 내복사근 + 외복사근 강화, 옆구리 안정화
러시안 트위스트 회전력 강화, 복부 회전 시 양쪽 내복사근 작용
팔꿈치 무릎 크런치 회전 + 굴곡 동작을 통한 내복사근 자극

💡 외복사근 vs 내복사근 비교

항목외복사근내복사근
위치 가장 바깥층 중간층 (외복사근 아래)
근섬유 방향 ↘ 대각선 아래 ↗ 대각선 위
회전 방향 반대 방향 회전 같은 방향 회전
시각적 노출 보임 보이지 않음 (심부 근육)

✅ 요약 정리

항목내용
기시 장골능, 서혜인대, 요추근막
정지 제10~12번 늑골, 백선, 치골
기능 몸통 굴곡, 같은 방향 회전, 측굴, 복압 형성
신경 지배 T7~T12, L1
운동 예시 사이드 플랭크, 데드버그, 러시안 트위스트

✍️ 포스팅 마무리 문구 예시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내복사근은 복부의 중심을 지켜주는 숨은 영웅입니다!
허리 건강, 복부 안정성, 코어 강화까지 — 제대로 운동하고 싶다면 내복사근도 꼭 챙기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