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근육(67)
-
소흉근(Pectoralis min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통증, 스트레칭, 운)
소흉근(Pectoralis Minor) 해부학적 이해 1. 소흉근의 정의소흉근(Pectoralis Minor)은 대흉근 아래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얇은 근육으로, 주로 견갑골(어깨뼈)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관여합니다. 2. 소흉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기시(Origin): 제3~5번 늑골(갈비뼈, Ribs 3-5) 앞면정지(Insertion): 오훼돌기(Coracoid Process) – 견갑골(어깨뼈)의 앞쪽 돌기소흉근은 갈비뼈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오훼돌기에 붙습니다. 이로 인해 흉곽과 견갑골을 연결하며, 어깨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소흉근의 기능(Function)✅ 견갑골의 전인(Protraction, 앞으로 내밈)→ 견갑골을 앞쪽으로 당겨 어깨를 앞으로 ..
2025.03.16 -
능형근(Rhomboid)_ 대능형근, 소능형근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능형근(Rhomboid muscle)은 몸의 뒤쪽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으로, 주로 어깨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은 두 개의 근육으로 나뉘며, 각각 대능형근(Rhomboid major)과 소능형근(Rhomboid minor)으로 구분됩니다. 이 두 근육은 모두 등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깨와 상체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두 근육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 근육의 기시, 정지, 기능 등을 다뤄보겠습니다. 1. 대능형근 (Rhomboid Major)기시(Origin): 대능형근은 T2~T5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의 흉추)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에서 기시합니다.정지(Insertion): 이 근육은 어깨뼈의 내측면, 즉 어깨날개(scapula)..
2025.03.15 -
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전거근(앞톱니근_Serratus anterior)의 해부학적 정보 (기시, 정지, 기능
📌 전거근(Serratus Anterior)전거근은 갈비뼈에서 시작되어 견갑골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어깨 안정성과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견갑골을 몸에 밀착시키고, 위쪽 회전을 돕는 기능을 합니다. 전거근은 어깨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주로 견갑골(어깨뼈)의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운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해부학적 정보📍 기시(Origin)제1~9번 늑골(lateral surface of the 1st to 9th ribs)📍 정지(Insertion)견갑골의 내측연(medial border of the scapula)과 하각(inferior angle)📍 신경 지배(N..
2025.03.14 -
사각근(Scalenus)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것 (기시, 정지, 기능, 문제, 스트레칭)
1. 사각근이란?사각근(Scalene muscles)은 경추(목뼈)에서 시작되어 첫째 및 둘째 갈비뼈에 붙는 근육으로, 목의 움직임과 호흡 보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전사각근(anterior scalene), 중사각근(middle scalene), 후사각근(posterior scalene)으로 나뉘며, 각각 위치와 기능이 다소 다릅니다. 2. 사각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근육기시(Origin)정지(Insertion)전사각근 (Anterior scalene)C3~C6 횡돌기제1늑골 (첫째 갈비뼈)중사각근 (Middle scalene)C2~C7 횡돌기제1늑골 (첫째 갈비뼈)후사각근 (Posterior scalene)C5~C7 횡돌기제2늑골 (둘째 갈비뼈)횡돌기(Tran..
2025.03.13 -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의 해부학적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견갑거근은 목에서 시작하여 어깨뼈(견갑골)까지 이어지는 근육으로, 이름 그대로 "견갑골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자세가 좋지 않거나 긴장 상태가 지속되면 쉽게 뭉치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1. 견갑거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기시(origin, 시작점):경추(C1~C4)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즉,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목뼈(경추)에서 시작된다.정지(insertion, 닿는 부위):견갑골(superior angle of scapula)의 상각 및 내측연(medial border)쉽게 말해, 견갑골의 위쪽 모서리와 안쪽 경계 부분에 붙는다. 2. 견갑거근의 기능(function)견갑거근은 주로 어깨와 관..
2025.03.12 -
흉쇄유돌근_SCM(Sternocleidomastoid)의 해부학적 정보의 모든 것 (기시, 정지, 기능, 스트레칭, 운동)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SCM)흉쇄유돌근은 목 앞쪽에서 쉽게 만질 수 있는 근육으로, 목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이 짧아지거나 긴장하면 목 통증이나 두통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 중 하나이다. 1. 흉쇄유돌근의 해부학적 정보기시 (Origin)흉쇄유돌근은 두 개의 머리(Clavicular & Sternal Head)로 나뉘어 기시한다.복장머리(Sternal Head): 흉골의 앞쪽(복장뼈, Manubrium of Sternum)에서 시작쇄골머리(Clavicular Head): 쇄골 내측 1/3 지점에서 시작정지 (Insertion)유양돌기(Mastoid Process, 측두골)상항선(Lateral part of ..
2025.03.11